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능할까?

by hyu.nn 2022. 12. 24.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2023년 6월 출시

 

윤석열 정부의 핵심 청년 공약인 청년도약계좌가 내년 2023년 6월 출시가 된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정부에서는 청년들을 위한 부동산 정책이나 제도 등으로 많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나이가 조금만 젊었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청년도약계좌 운영 예산을 포함한 2023년 세출예산(3조8천억원) 및 소관기금 지출계획(34조)이 확정 됐다고 오늘 24일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처럼 청년층의 뜨거운 관심을 받게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 납입한도 및 의무가입기간, 그리고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중복가입 여부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층 대상으로 월 70만원씩 5년간 계속 납입을 하면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도입이 확정 되면서 가입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셨을 것 같습니다.

 

만 19세부터 34세까지 가입이 가능하며,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인 청년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청년희망적금과는 다르게 가구소득이 추가가 되었다는 점인데요. 2인 가구 기준 월소득 622만원 이하면 가입이 가능하니 신청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가구소득은 높은데 개인소득이 낮아 정부지원금을 많이 받아가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소득이 낮으면 본인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본인 납입금의 3%의 기여금이 붙는 방식이며, 매달 70만원씩 납입하면 소득 기준에 맞게 6%, 3% 기여금으로 74만 2천원, 72만 1천원씩 5년까지 지나면 원금에 은행이자까지 하여 약 5천만원 수준으로 모을 수 있게 됩니다. 

 

현재 금리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청년희망적금 당시 은행 이자가 5~6%의 금리를 제공하였고, 최근 금리가 높아진 것을 고려하여 당초 5% 금리보다 더 높은 7~8% 정도의 수준이 될 것 같습니다. 5% 금리도 꽤 높은 편인데, 7~8%의 금리로 적용이 된다면 만기 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5천만원이 넘을 수도 있겠네요.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 및 의무가입기간

 

청년도약계좌의 납입한도는 연 840만원(월 40만원~ 최대 70만원)이고, 의무가입기간은 5년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에 매월 50만원 납입한도였는데, 청년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원에 만기가 5년이라 매달 납입하는 것이 사실 부담일 수는 있겠습니다. 대신 5년 만기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까지 추가해서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정부 기여금까지 별도이니 청년희망적금처럼 높은 관심으로 초기 판매 종료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을 해봅니다. 

 

하지만 무가입기간 5년을 채우지 못하거나 중도해지할 경우 감면세액이 추징되어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니 신중하게 생각하며 가입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이 지난 2월 말 신청 초기에 은행 어플이 마비될 정도로 인기가 있어서 조기판매 종료가 된만큼 이번 6월에 신청가능한 청년도약계좌도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확정이 되기 전 기사를 보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도록 설계할 예정이라고 하였으나, 관계 기관과 협의한 결과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와 중복으로 운영하기보다 청년도약계좌가 좀 더 유의미한  자산형성을 도울 수 있어 청년희망적금은 종료 하기로 하였다는 기사만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올해 2월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은 추가 가입을 따로 받지 않고, 만기가 종료되는 2024년 2~3월 장려금을 지급이 되면 사업은 종료가 되는데, 현재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내용이 확인이 되지 않네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한이 2025년 12월 31일까지인 것을 보면 갈아탈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지 않은 것 같은데, 추후 6월 출시 이전에 다시 정확하게 궁금한 점에 대해 확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에 관심을 가지는 청년층은 미리 자신의 소득과 납입할 수 있는 금액 등을 계획하여 오는 6월에 신청할 수 있도록 준비하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